콤푸타/linux 9

[linux] 리눅스 데스크탑 환경

필자의 첫 컴퓨터 운영체제는 윈도우 98이었다.윈도우 98의 특징이라 한다면 MS-DOS 커널이 백단에서 동작한다는 것이지만,일반 사용자가 그런 CLI를 사용할 필요는 없었다.왜냐하면 너무나도 깔끔하고 미려한 GUI 환경을 제공 해 주었기 때문이다.GUI환경에 익숙해져 있던 나는 검은 화면이 뜨기만 하면 "도스 창이 떴다" 하며 어쩔 줄 몰라하던 기억이 있다.여담으로 지금도 검은 배경에 텍스트만 있는 윈도우가 팝업되면, 컴퓨터를 모르는 사람들은 "도스 창이 떴다" 며 당황한다.그만큼 MS-DOS 운영체제는 센세이션했고, WINDOWS 운영체제는 GUI 혁신을 가져왔다.아무튼, 여러분은 GUI 환경을 사용하면서 GUI 구성요소들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있는가? 아마 대부분은 없을것이랑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콤푸타/linux 2024.11.16

[linux] 포트 정보 확인하기

포트정보를 확인할 때 가장 익숙한 명령어는 보통 netstat 일것이다.그런데 가끔 분석을 하다 보면 서버에는 net-tools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종종 있다.그럴때는 당황하지 말고 다른 명령으로 확인해보면 되겠다. 1. netstat나는 리눅스에서 netstat 명령을 사용할때는 naptu 옵션을 주로 사용한다. 즉 'netstat -naptu' 로 쓰는것이다.각 옵션별 의미는 다음과 같다.-n, --numeric            don't resolve names-a, --all                display all sockets (default: connected)-p, --programs           display PID/Program name for socketst,..

콤푸타/linux 2024.09.14

리눅스에서 python3을 python명령으로 실행하기

최근에 wsl을 쓰다가 cli에서 파이썬을 쓸 일이 좀 생겼는데, 리눅스에서(os설치시 기본설치되는) 파이썬은 기본적으로 python3 로 이름지어져 있다.apt 나 snap 을 사용해서 설치해도 비슷하지 않을까?실제로 which python3 명령을 통해 확인해보면 /usr/bin/python3 경로에 존재하는 것이 확인된다. 여기서 /usr 경로는 음.. 운영체제 관련 파일들이 아닌 일반 실행 파일들이나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저장되는 경로라고 생각하면 좋겠다./usr/bin 경로는 그 중에서도 실행할 수 있는 명령 파일들이 저장되는 경로다.실제로 해당 경로를 살펴보면.. 파일이 너무많아서 힘들것 같고 우리가 굉장히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들 ls, awk, grep 등이 /usr/bin 경로에 존재하고있다..

콤푸타/linux 2024.07.07

패키지 관리자

1. 패키지 관리자란리눅스 사용자는 OS를 처음 설치하거나 또는 사용 중에 주기적으로(수동으로) 업그레이드를 진행한다. 윈도우는 os에서 자체적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하지만 리눅스는 사용자가 업데이트를 수행해주어야 한다.데비안 계열의 리눅스 운영체제를 사용해본 독자는 다음과 같은 명령을 많이 수행해 보았을 것이다.sudo apt install "package"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이는 'apt'라는 패키지 관리자를 superuser권한으로(sudo, superuser do)실행 한다는 의미다. 요즘은 데비안 계열 또는 우분투를 많이 쓰기 때문에 'yum'이나 'dnf'보다  APT(Advanced Package Tool)이라는 명령이 익숙한 사용자들이 많을것이라 생각..

콤푸타/linux 2024.07.06

디바이스 마운트

관련 명령어 df -h fdisk -l 리눅스는 디바이스를 직접 파일(디렉토리) 경로에 마운트 시켜줘야 접근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새로운 장치를 연결했거나, 디스크를 분리해서 사용할 경우 별도 경로에 마운트를 해줘야합니다. 내가 원하는 경로에 mkdir로 디렉토리를 하나 만든 후 fdisk -l 로 디바이스를 찾아봅시다. 찾은 디바이스를 mount 명령어로 마운트 시키는데 mount 디바이스명 마운트경로 이렇게 됩니다. 여러가지 옵션이 있는데 -t 옵션을 쓸 경우 내가 원하는 파일 시스템으로 마운트가 가능합니다. 또는 마운트할 디바이스의 파일시스템으로 맞춰 주어야합니다. 그리고 재시작할 경우 마운트가 풀리게 되는데 /etc/fstab (filesystem table)에 작성을해주어야 재부팅해도 자동으로..

콤푸타/linux 2022.04.26

무선통신 wi-fi 잡기

iwconfig 해서 나오는 장치가 ifconfig 에 안나오면 ifconfig device_name up 해준다 거런다음 iwlist device_name scan 해서 주변에 떠돌아다니는 망들 목록을 보고 내가 연결하고자 하는 SSID 를 찾는다 그다음 sudo wpa_passphrase "SSID" > wpa_supplicant.conf 명령을 실행해준다 그러면 # reading ~ 머시기가 뜨고 한줄 넘어갈텐데 거기다 비밀번호를 입력해준다. 그러면 해당경로에 wpa_supplicant.conf 가 생성되어있는데, 비밀번호가 평문으로 저장되어있기 때문에 지워주자 그런 다음 sudo wpa_supplicant -B -i device_name -c wpa_supplicant.conf 명령을 실행하고 i..

콤푸타/linux 2022.04.25

swap 생성 및 적용하기

먼저 메모리 상태부터 확인한다 sudo free -m Swap: 으로 적힌 항목들이 0 0 0 이면 스왑이 없거나 off 되어있는것이다 만약 값이 있다면 스왑이 적용되어있는 것이다 스왑파일을 생성하기 전에 스왑을 off 해 주어야 한다. sudo swapoff -a 다시 on 하려면 sudo swapon -a 하면 된다 스왑이 off 된것을 확인하고 다으 명령을 실행시킨다 sudo fallocate -l xG path 여기서 x는 내가 만들고 싶은 스왑 크기 숫자, path는 스왑 파일을 생성하고자 하는 경로 생성 후 swap 파일의 권한을 바꿔준다 sudo chmod 600 path 여기까지 마쳣다면 swap 파일이 생성되었을 것이다. 생성한 스왑을 적용하기 위해 sudo swapon path 하면 된..

콤푸타/linux 2022.04.25

GUI 비활성화 하기

어딘가에 있는 grub 파일을 찾아서(sudo find / -name grub) 수정을 해주면된다 GRUB_CMDLINE_LINUX_DEFAULT="quiet splash" 항목 주석처리 GRUB_CMDLINE_LINUX="" 안에 text라고 써주고(GRUB_CMDLINE_LINUX="text") GRUB_TERMINAL=console 을 찾아서 주석을 풀어주면된다 저장하고 터미널에서 sudo update-grub 입력 그다음 sudo systemctl set-default multi-user.target 입력 해 준다음 service --status-all 을 해서 display manager가 동작중이면 꺼주자 내가 설치한 루분투에는 sddm이 있어서 service sddm stop으로 꺼주었다. ..

콤푸타/linux 2022.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