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을 통한 침해사고 발생 시 웹 로그를 통해 공격자가 어떤 행위를 수행하였는 지 파악할 수 있다.다만 웹 로그 용량이 100GB를 넘어가면 눈알이 빠질듯한 경험을 할 수 있는데.. 이것도 어느정도 요령껏 가능한 부분이다.필자의 웹로그 분석 요령들을 공유해보고자 한다. 1. 웹 서비스 파악 우선 어떤 종류의 웹 서버를 사용하는지(Windows IIS, Apache, Tomcat)등 에 따라 분석 요령이 약간씩 달라진다. 가장 편한것은 아무래도 Linux 기반의 APM 이다.또한 VirtualHost 기능을 사용해서 하나의 웹 서버에서 다수의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침해가 발생한 웹 서비스를 정확하게 구분하는것도 중요하다. 2. 분석전략 우리에게는 수십만-수백만 줄의 로그가 주어진다. 자 ..